[ TERMS 11 ] 프록시 서버
1. 프록시(Proxy) 서버의 정의
'Proxy'는 '대리인'이라는 뜻으로 프록시 서버는 대리인 역할을 하는 서버이다. 클라이언트가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개해주는 서버를 말한다.
2. 프록시 서버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웹 환경에서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요청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인터넷 서비스들은 빠른 전송과 네트워크 비용 절감, 보안을 위해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프록시 서버는 필수는 아니지만, 네트워크 환경을 좀 더 빠르고 안전하게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프록시 서버 알아보기
> 포워드 프록시( Forward Proxy )
일반적인 프록시 서버는 포워드 프록시를 의미한다.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인터넷 사이에 프록시가 위치해서 클라이언트 대신 서버에 요청을 보내 주는 형태이다.
포워드 프록시를 통해서 얻는 이점 첫번째는 로컬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를 오가는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성년자들이 부적절한 콘텐츠를 브라우징하는 것을 막기 위해 포워드 프록시를 사용할 수 있다. 두번째 이점은 포워드 프록시는 대개 캐싱 기능이 있어 빈번하게 사용된 콘텐츠가 있다면 서버의 응답을 캐싱해서 저장해 불필요한 외부 전송을 없애 성능을 향상한다. 세번째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포워드 프록시가 요청한 것처럼 가장함으로써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숨길 수 있고, 정해진 사이트만 연결하게 설정하는 등 웹 사용 환경 제한도 가능하다. 또한 포워드 프록시에서 네트워크 패킷 로깅도 가능학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기업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 리버스 프록시( Reverse Proxy )
리버스 프록시는 서버와 인터넷 사이에 위채헛 서버의 응답을 대신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리버스 프록시의 가장 큰 특징은 포워드 프록시와 다르게 인터넷과 외부 서버 사이에 위치한다는 점이다.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서 얻는 이점 첫번째는 로드 밸런싱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많아지면 서버는 과부하로 동작이 멈출수 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려면 여러 대의 서버에 트래픽을 적절하게 나눠 주어야 한다. 두번째 보안상의 이유로 클라이언트가 직접 서버에 접근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간접적으로 접근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버스 프록시가 방화벽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4.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
- 필터 : 허용하는 콘텐츠에는 제한 없는 접근을 허용하면서 부적절한 사이트 접근은 강제로 거부할 수 있다.
- 접근 제어 : 많은 웹 서버와 웹 리소스의 단일한 접근 제어 전략을 구현하고 추적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클라이언트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서버에 있을 떄 허가받지 않은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면 비밀번호를 요구하도록 구성할 수 있따.
- 캐싱 : 프록시는 자주 오는 요청을 캐싱하여 해당 요청을 서버에 거치지 않고 바로 응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용 감축 및 네트워크를 향상할 수 있다.
- 익명 역할 : HTTP 메시지에서 신원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거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와 익명성 보장에 기여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요청이었으나 프록시 요청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고 리버스 프록시인 경우 서버인 척 응답을 보내기 때문에 보안에 기여할 수 있다.
5. 프록시 서버 더 알아보기
> 함께 알아 두면 좋은 용어
- 웹 서버
- WAS
- 캐시
> 혼동하기 쉬운 용어
- NAT
- VPN
'IT 도서 리뷰 > 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10 (4) | 2025.07.31 |
---|---|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09 (3) | 2025.07.25 |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08 (3) | 2025.07.19 |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07 (2) | 2025.07.11 |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06 (0)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