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5
[ TERMS 05 ] URI
1. URI(Uniform Resources Identifier)의 정의
URI는 인터넷에 있는 많은 자원들을 구분하기 위한 문자열로, 흔히 웹 사이트의 주소로 정의된다. URI를 활용하면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근하거나 자원들을 식별 가능하다.
2. URI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URI를 활용한다. URI는 웹 사이트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 모든 웹 사이트가 가지고 있다.
3. URI 알아보기
> 등장 배경
웹 사이트마다 고유의 IP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모든 IP 주소를 기억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문자열로 된 URI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 개념
URI는 자원이 어디 있는지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이다. URL(통합 자원 위치로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이 어디 경로에 있는지 알려주는 문자열 '스키마://호스트.경로'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URL만으로 웹사이트에 접근 가능하다)과 URN(통합 자원의 이름으로 하나의 자원에 대해여 위치, 스키마, 호스트에 상관없이 붙여진 이름으로 자원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실제 자원을 찾기 위해서는 URL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기본 형태는 urn:'이름 공간 식별자':'이름 공간에 대한 특별 문자열'이다.)의 개념을 포함한다.
> 구조
이름 | 설명 |
스키마 | 사용자와 자원사이의 통신 규칙을 나타낸다. |
호스트 | IP 혹은 도메인으로 자원의 주소를 나타낸다. |
포트 | 포트번호이며, 하나의 컴퓨터 안에 여러 개의 서버가 있을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나타낸다. 웹 서버는 80번 포트를 사용한다는 무언의 규칙이 존재해 생략 가능하다. |
경로(URL Path) | 자원의 경로를 나타낸다. |
쿼리 스트링 (Qurey String) |
주소 뒤에 덧붙여 추가적인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어떤 자원을 원하는지 알려준다. |
4. URI를 사용하는 이유
URL은 수많은 자료가 있는 인터넷에서 정확하고 편리하게 자원을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하지만 URL 방식은 고유한 위치에 대응하는 자료가 없어지거나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검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URN이 만들어졌고 둘을 합친 개념이 URI이다. 현재는 물리적으로 자원의 정보가 바뀌어도 고유의 데이터가 유지되며 자원의 식별도 가능한 URI를 사용한다.
5. URI 더 알아보기
URI는 웹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정말 중요한 개념이다. 하지만 URI로 할 수 있는 일은 한정적이다. URI를 공부한 뒤 홈 서버를 만들어 사용자와 서버의 통신을 공부한다면 URI의 필요성과 도메인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을 것이다.
> 함께 알아 두면 좋은 용어
- HTTP/HTTPS
- DNS
- REST 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