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리뷰 49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1

[ TERMS 01 ]  데이터베이스1. 데이터베이스(Database)의 정의 데이터베이스는 다수의 사람이 공유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되는 구조화된 정보 또는 조직화된 데이터의 모음이다. 2.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공공기관에서 수집하는 교통 데이터를 통해 버스와 열차의 현재 위치와 도착 예정시간을 확인 가능하다. 여러 서비스 기업들은 고객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는 개인도 활용가능하다. 엑셀이나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것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개인이 작성하는 가계부가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12

[ TERMS 12 ]  랜카드 / 허브 / 스위치 / 라우터1. 랜카드 / 허브 / 스위치 / 라우터의 정의 랜카드, 허브, 스위치, 라우터는 모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사용하는 장비이다. 랜카드는 외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PC의 통신장치이며, 허브는 컴퓨터들을 LAN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장치이다. 스위치는 콜리전 도메인을 작게 분할하여 데이터 전송 시 충돌 가능성을 낮춰주는 장비이며, 라우터는 각각의 네트워크들을 연결하여 더 큰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2. 랜카드 / 허브 / 스위치 / 라우터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정보를 처리하는 통신망을 네트워크라고 한다. 우리가 네트워크에 실어서 보낸 요청은 수많은 네트워크 장비를 거쳐 목적지에 도달한다. 네트..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11

[ TERMS 11 ]  VPN1. VPN(Virtual Private Network)의 정의 VPN은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2. VPN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개인 정보 보호 VPN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암호화하기 때문에 VPN 제공자의 로그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특정 사용자를 추적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자신의 사용 기록을 남기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VPN을 사용한다. >  특정 공간과 같은 네트워크 망 구축 외부에서 회사 혹은 집의 네트워크 망에 접근할 때 VPN을 사용한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재택근무를 하는 기업들이 늘었는데, 이런 기업들은 직원들의 재택근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자택에서 직접 회사 네트워크 망에 접근할 수 있게 회사에..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10

[ TERMS 10 ] SOAP / REST1.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정의 SOAP / REST는 인터넷에서 원하는 자원을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형식이다. 2. SOAP / REST 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페이지를 개발할 때 사용자가 자원을 요청하고 서버에서 응답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내용 전달을 위해서 SOAP / REST가 사용된다. 3.. SOAP / REST 알아보기>  SOAP SOAP은 웹 페이지를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최초의 표준 형식으로 서비스가 있는 공간에 접근하여 자원들을 요청하는 형식이다. 동작방식 웹 사이트 제공자가 웹 서비스를 설명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적힌 ..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9

[ TERMS 09 ] JSON / XML1.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정의  JSON/XML은 브라우저와 서버 간(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자료를 통신할 때 사용하는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이다. 2. JSON / XML 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REST API JSON/XML이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통신이다. REST API는 앱이 거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고안된 데이터 통신 방법으로 무거운 HTML 혹은 이미지 파일을 보내는 것 대신 실제로 필요한 데이터만 보내는 방식이다.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제공하는 일일 박스오피스 API를 간소화하여 표현JSON 형식 응답XML 형식 응..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8

[ TERMS 08 ] CORS1.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정의 CORS(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브라우저에서만 가지고 있는 체제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도메인과 서로 다른 도메인 간의 리소스를 가져오고 싶은 경우, 정해진 규약을 통해 선택한 리소스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도록 브라우저에 알려준다. 예를들어 'https://localhost:8080'가 'https://localhost:3000'으로부터 요청한 리소스를 받아오려고 한다면 CORS오류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브라우저가 제한하는 SOP(Same-Origin Policy, 동일 출처 정책)의 기준 3개(프로토콜,도메인, 포트) 중 포트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2. CORS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외부..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7

[ TERMS 07 ] HTTP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정의  HTML은 우리가 보는 웹 페이지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 브라우저로 하여금 알 수 있게 하는 마크업 언어이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언어와 규칙이 서로 다르다면 제대로된 데이터의 전달이 불가능하다. 즉,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리소스를 주고받기 위해 규칙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고 이러한 규칙이 HTTP이다. 2. HTTP는 언제 접하게 될까? 어느 웹 페이지나 URI에서 'HTTP' 또는 'HTTPS'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 네트워크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다양한 정보가 교횐되는데, 이때 HTTP와 HTTPS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3. HTTP 알아보기>  개념 웹은 기본적으로 H..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6

[ TERMS 06 ] IP/DNS1. IP (Internet Protocol) / DNS (Domain Name System) 의 정의 IP와 IP주소는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해야한다. IP는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규약이고, IP주소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의 주소이다. DNS는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2. IP / DNS 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IP 주소는 컴퓨터의 주소로 사용되며 클라우드 서버 접속 등 다른 컴퓨터에 접속할 때 사용한다. DNS는 평소 인터넷을 이용할때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3. IP / DNS 알아보기>  등장 배경IP IP 주소는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주소로, 사람의..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5

[ TERMS 05 ] URI1. URI(Uniform Resources Identifier)의 정의 URI는 인터넷에 있는 많은 자원들을 구분하기 위한 문자열로, 흔히 웹 사이트의 주소로 정의된다. URI를 활용하면 원하는 웹사이트에 접근하거나 자원들을 식별 가능하다. 2. URI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사이트에 접근할 때 URI를 활용한다. URI는 웹 사이트에서 요구되는 기본조건으로 모든 웹 사이트가 가지고 있다.3. URI 알아보기>  등장 배경 웹 사이트마다 고유의 IP가 존재하지만, 사용자가 모든 IP 주소를 기억하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문자열로 된 URI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  개념 URI는 자원이 어디 있는지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이다. URL(통합 자원 위치로 네트워크상에서 자원이 어..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4

[ TERMS 04 ] 포트   1. 포트(Port)의 정의 소프트웨어적 포트 : 네트워크 통신의 종단점으로서 용도별로 앱을 구분 짓는 논리적 통로[e.g. 하나의 IP주소가 연결된 기기에 통신을 필요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이 구동중이거나 IP 주소에 공유기로 연결된 여러 기기가 물려있을경우 이를 구분하는 개념] 2. 포트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개발을 하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다룰 때 사용하는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을 사용할 때 접하는 개념이다. 포트 개념을 이해하면 한 IP 안에 연결된 수많은 기기와 프로그램을 구분해서 통신할 수 있다.3. 포트 알아보기>  개념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DNS 서버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