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6] 소프트웨어 공학/프로그래밍 언어 - TERMS 01
2025.09.16
[ TERMS 01 ] 클라이언트/서버 1. 클라이언트(Client)/서버(Server)의 정의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소프트웨어 혹은 기계장치를 의미한다. 역할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구분이 되는데 정보를 요청하는 것이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서버이다. 2. 클라이언트/서버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기상예보 서비스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자면, 클라이언트인 사용자가 날씨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요청한 위치를 기반으로 날씨 정보를 찾아서 응답한다. 스트리밍, OTT 서비스들도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요청하고 서버는 요청한 콘텐츠에 걸맞는 데이터를 응답한다고 볼 수 있다.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정보를 주고..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15
2025.09.10
[ TERMS 15 ] 아두이노/라즈베리파이1. 아두이노(Arduino)와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의 정의 아두이노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배우는데 어려움을 겪던 디자이너들을 위해 만든 교육용 MCU 보드이며, 라즈베리파이는 영국의 라즈베리파이재단이 개발도상국의 기술 증진을 위해 만든 교육용 소형 컴퓨터이다. 2.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프로그래밍이나 알고리즘을 현실에서 적용해야 하는 상황이 존재한다. 특정 사물을 모니터링 하는 웹사이트, 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커튼을 여닫는 자동 커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하지만 이것이 가능해지려면 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있어야 한다.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는 특수 목적으로 작..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14
2025.09.04
[ TERMS 14 ] 고가용성 1.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의 정의 고가용성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2. 고가용성은 어떻게 접하게 될까? 시스템을 운영할 때 백업이나 시스템 장애 처리, 액세스 등을 처리하기 위해 고가용성을 이용한다. 특히 서버 운영이 필요한 병원이나 센터, 웹 브라우저 등 시스템이 가동되는 곳에서 필요로 한다. 3. 고가용성 알아보기> 가용성 가용성은 시스템이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다운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유지된 시간을 의미한다. 가용성을 수치로 표현하면 사용 시간(Uptime)을 전체 사용 시간(Uptime + Downtime)으로 나눈 값이다. 즉 시스템이 멈추지 않고 지..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13
2025.08.26
[ TERMS 13 ] 암호화 / 복호화 1. 암호화/복호화의 정의암호화 : 의미가 있는 정보를 의미를 알 수 없는 형태의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복호화 : 의미를 알 수 없는 정보를 해석하여 의미를 알수 있는 정보로 변환하는 과정 2. 암호화/복호화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의미가 있는 정보를 타인이 알 수 없게 해야하는 상황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전쟁중 부대 간 소통을 할때 적군에게 정보를 노출시키지 않기위해 평문을 암호화 하여 전달하고 전달받은 부대는 복호화하여 평문을 취득한다. 이처럼 암호화의 가장 큰 목적은 어떤 정보를 특정 사람들만 알게 하는 것이다. 3. 암호화/복호화 알아보기> 개념 암호화는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서, 혹은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근..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5] 운영체제/시스템/보안 - TERMS 12
2025.08.23
[ TERMS 12 ] OAuth 2.0 1. OAuth 2.0 ( Open Authorization 2.0, OAuth2 ) 의 정의 OAuth 2.0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개방형 표준 프로토콜이다. 기존의 아이디/비밀번호 형태로 인증/인가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접근 권한을 인증받기 위한 토큰을 발급받아 인증/인가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2. OAuth 2.0은 어떻게 접하게 될까? 구글 로그인, 페이스북 로그인, 네이버 로그인, 카카오 로그인 등이 OAuth 2.0을 사용한 대표적인 인증 방식이다. 또한 페이스북이나 구글 아이디로 제 3의 서비스에 로그인해서 등록되어 있는 정보(친구 목록)등에 접근 권한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미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대기업들이 해당 방식으로 API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