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 TERMS 05
2025.04.20
[ TERMS 05 ] 쿠버네티스1.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정의 쿠버네티스는 구글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기반의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Container Orchestration)이다. 'Kubernetes'는 그리스어로 '키잡이''를 뜻한다. 쿠버네티스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오케스트레이션 툴로서, '쿠베르네티스, K8s, 쿠베, 쿠버, 큐브'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2. 쿠버네티스는 어디에서 접하게 될까? 모놀리식(Monolithic)을 마이크로서비스로 나누거나 마이크로서비스 기반 시스템을 처음부터 구축할 때 수많은 서비스만큼 수많은 컨테이너가 생성된다. 이런 분산 시스템에서 정신없이 많은 컨테이넏릉르 능숙하게 관리하는 쿠버네티스를 만날 수 있다. 3. 쿠버네티스 알아..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 TERMS 04
2025.04.10
[ TERMS 04 ]  도커1. 도커(Docker)의 정의 도커는 컨테이너에서 다양한 서버의 자원들을 원하는 대로 묶어서 손쉽게 실행하고 배포하는 가상화 플랫폼이다.  2. 도커는 어디에서 접하게 될까? 도커는 엔지니어와 개발자들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A회사가 솔루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여러 회사에 납품하고 있을때 초창기에는 엔지니어가 솔류션에 3~4개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서 납품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날수록 솔루션이 업그레이드되고 지방까지 솔루션을 납품하는 일이 잦아졌다. 엔지니어는 매번 솔루션을 납품할 때마다 8개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하고, 납품하는 업체는 많아지는데 설치 시간은 길어진다. 이러한 상황에 도커를 활용한다. 도커는 컨테이너라는 독립된 공간에서 여러 개의 자원들을 원하는 대로..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 TERMS 03
2025.04.05
[ TERMS 03 ]  데브옵스 1. 데브옵스(DevOps)의 정의  DevOps :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합성어 2. 데브옵스는 어디에서 접하게 될까? 클라우드로 인해 코드로 인프라 관리가 가능해 졌고, 운영의 많은 부분이 자동화 되었다. 데브옵스 엔지니어가 구축한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통해 지속적인 통합, 배포, 테스팅, 모니터링을 접할 수 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에서도 데브옵스를 쉽게 접할 수 있다.  작은 서비스 단위로 구성된 마이크로서비스는 개발과 운영을 하나의 팀에 두고 유기적으로 협력한다. 3. 데브옵스 알아보기>  등장배경 요시바 류타로 외 3인은 변화된 소프트웨어 개발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 TERMS 02
2025.03.29
[ TERMS 02 ]  GIT1. GIT의 정의 GIT은 리눅스의 아버지라 불리는 리누즈 토발즈(Linus Torvalds)가 리눅스 커널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개발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DVCS)으로, 파일의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사용자 간의 효율적인 공동 작업을 도와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서 의미하는 파일이란 개발자가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소스코드를 의미한다. 2. GIT은 어떻게 접하게 될까? 여러 개발자가 함께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툴이다. GIT은 병렬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툴이다. 개인 프로젝트로 개발할 때도 GIT을 이용하면 효율적인 버전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개발자가 사용하고 있다. 3. GIT 알아보기 작업을 진..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4] 클라우드/데브옵스 - TERMS 01
2025.03.21
[ TERMS 01 ]  클라우드 1. 클라우드(Cloud)의 정의 클라우드의 정식 명칭은 'Cloud Computing'이며 인터넷을 통해서 CPU, 메모리, 데이터 스토리지, 네트워크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한다. 구름처럼 내부가 보이지 않고, 서비스 사용자는 복잡한 내부 구조를 알 필요 없이 구름 속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클라우드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볼 수는 있지만 만질 수는 없는 구름을 가상환경이라 가정하자. 실제로 PC의 메모리, 데이터, 서버들(자원)이 가상환경 즉, 구름 안에 있는 형태가 바로 클라우드이다. 매일 100명의 사용자가 방문하는 작은 쇼핑몰이 존재한다. 이 쇼핑몰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을 위해 과감한 세일 행사를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