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6
2025.03.13
[ TERMS 06 ]  해시 1. 해시(Hash)의 정의 해시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때 사용하는 자료 구조 중 하나이다. 정확하게는 특정한 함수를 사용하여 추출한 값을 활용하는 것이다. 해당 함수는 해시 함수라 불리며 해시 함수는 입력되는 데이터들끼리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정리하는 알고리즘이다. 해시 함수의 구현 방법에 따라 사용 용도와 성능이 달라진다. 2. 해시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해시는 주로 양이 많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할 때, 해시를 암호처럼 활용해서 데이터를 보호할 때 접하게 된다. 메시지 인증 코드, 디지털 서명, 비밀번호 등 암호학, 검색 자료 구조를 다룰 때 접하는데 이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검출할 때 활용되는 방법이다. 응용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때 파일이 변조되는 경우가 ..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5
2025.03.06
[ TERMS 05 ]  스택/큐 1. 스택(Stack)/큐(Queue)의 정의 스택과 큐는 개발할 때 접하는 기본적인 자료 구조이다. 자료 구조는 컴퓨터에서 데이터(자료)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2. 스택/큐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스택과 큐는 최근 개발자가 치르는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때 꼭 알아야 하는 개념이다. 선형 자료 구조 유형에서 이 두 가지 개념을 활용한 문제를 많이 풀게 된다. 또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공부할 때 메모리 그림이 자주 나오는데 스택과 큐의 개념을 잘 알고 있어야 프로그래밍 언어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3. 스택/큐 알아보기>  스택개념 위키백과에서는 스택을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나열 구조'라고 정의했다. 원론적인 개념이 아닌 실제 현실에서의 사례를 활용하여 설명하자면..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4
2025.02.24
[ TERMS 04 ]  데이터 마이닝1.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의 정의 'mining'은 채굴, 채광이라는 뜻으로 데이터 마이닝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의미가 있거나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데이터 마이닝은 전통적인 데이터 분석 방식으로는 찾기 어려운 데이터 내부의 패턴, 연관성, 변화와 규칙 같은 중요한 정보를 발견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2. 데이터 마이닝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구글의 '독감 트렌드'서비스, 미국 국세청에서 활용하는 '탈세 방지 시스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교통 안내 시스템'과 같이 여러 분야의 연구 결과나 다양한 플랫폼에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해 도출한 결과물이나 그에 기반한 서비스를 접할 수 있다. 3. 데이터 마이닝 알아보기>..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3
2025.02.18
[ TERMS 03 ]  ERD / UML1. ERD(Entity Relationship Diagram) /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의 정의  ERD는 개체(Entity)들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기 편하게 해 놓은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들의 관계를 도식화하여 보여준다. UML은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설계 다이어그램이다. 시각적인 모델을 만들어서 서비스의 흐름, 실제 코드에 사용되는 객체들의 구조, 일부 로직을 처리하는 과정등을 보여준다. 2. ERD / UML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ERD나 UML은 개발할 때 설계도 역할을 하여 개발자들의 이해를 돕는 용도로 사용한다. ERD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각 테이블의 관계를 도식화해서 보여준다. 데이터베이스 내의 테..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3] 데이터베이스/자료구조 - TERMS 02
2025.02.12
[ TERMS 02 ]  샤딩1. 샤딩(Sharding)의 정의 샤딩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조각(조각난 데이터를 샤드라 부름) 내어 각각 새로운 노드에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이다. 데이터의 양이 많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는 힘들때 여러 노드에 데이터를 나누어 처리 속도를 향상할 수 있다. 2. 샤딩은 어떻게 접하게 될까? 앱의 유저가 급격히 늘어난다면, 앱에서 서버 용량 문제가 대두될 것이며 이는 결국 사용자들의 경험이 떨어질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샤딩은 훌룡한 대안이다. 샤딩은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해 두기 때문에 한 장소로 트래픽이 몰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수요할 수 있다. 3. 샤딩 알아보기 샤딩은 수평적 분할(Horizontal partitioning)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