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4
2024.12.06
[ TERMS 04 ] 포트   1. 포트(Port)의 정의 소프트웨어적 포트 : 네트워크 통신의 종단점으로서 용도별로 앱을 구분 짓는 논리적 통로[e.g. 하나의 IP주소가 연결된 기기에 통신을 필요로 하는 여러 프로그램이 구동중이거나 IP 주소에 공유기로 연결된 여러 기기가 물려있을경우 이를 구분하는 개념] 2. 포트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웹 개발을 하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다룰 때 사용하는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을 사용할 때 접하는 개념이다. 포트 개념을 이해하면 한 IP 안에 연결된 수많은 기기와 프로그램을 구분해서 통신할 수 있다.3. 포트 알아보기>  개념 웹 브라우저가 웹 페이지를 요청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주소창에 'www.naver.com'을 입력하면 DNS 서버에 ..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3
2024.11.25
[ TERMS 03 ] 프로토콜 1. 프로토콜(Protocol)의 정의 프로토콜은 컴퓨터, 통신장비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약속이다. 본래 프로토콜은 외교상의 의례나 약속을 의미했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그 의미가 확대되었다.2. 프로토콜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TCP / IP TCP와 IP는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과거 냉전 시절, 미국에서 서킷 통신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패킷 통신을 고안하였다.  서킷 통신은 일대일로 연결되는 방식이며, 선이 연결되어있어야 하고 교환원을 통해서 연결을 해야한다. 반면 패킷 통신은 데이터를 보낼 때 잘게 쪼개서 보낸다. 데이터를 쪼개서 보내면 도착할 때는 순서나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TCP / IP가 등장한다.  ..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2
2024.11.20
[ TERMS 02 ] TCP / UDP1. TCP / UDP의 정의 TCP와  UDP는 '수신 측에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지만 성질이 다른 트랜스포트 층의 프로토콜이다. 2. TCP / UDP는 어디서 접하게 될까? TCP/UDP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웹 사이트 접속, 모바일 게임, 이미지 다운로드, 영상 재생, 이메일 등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TCP/UDP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알아야 할 배경지식에 대해서 소개하겠다. >  네트워크 '네트워크'라고 하면 컴퓨터 용어 또는 시민단체나 동아리 등 일반적인 의미가 떠오른다. 네트워크는 한 단어이지만 '통신망', '관계', 방송'등 다양한 뜻을 가진다. 사전을 찾아보면 네트워크에는 '망'이라는 의미가 있다. 앞서 언급한 의미와 연결하여..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2] 네트워크/통신/데이터 - TERMS 1
2024.11.17
[ TERMS 01 ] OSI 계층1.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7계층의 정의 OSI는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 연결을 의미한다.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의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이다. 간단하게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눠서 설명한 모델이다. 2. OSI 7계층은 어디서 접하게 될까? OSI 7계층은 컴퓨터 과학 분야인 네트워크/통신과 정보처리기사 시험 등을 준비하면 접하게 되는 개념이다. 통신이란 2개 이상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것을 의미한다. 이때 각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부르고 송신하는 호스트에서 OSI 7계층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3. O..
IT 도서 리뷰/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IT 용어
[PART1] 웹/디자인 - TERMS 16
2024.11.10
[ TERMS 16 ]  PWA1. PWA( Progressive Web App )의 정의 PWA는 구글 크롬 엔지니어 알렉스 러셀과 디자이너 프랜시스 베리만이 소개한 웹의 새로운 개념으로 네이티브 앱( Native App ) 수준으로 웹 기술이 발전해 나갈 수 있게 방향성을 제시하는 최신 웹 개발 방법이다. 궁극적으로는 웹에서 네이티브 앱 수준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2. PWA는 어떻게 접하게 될까? 웹 사이트에 접속했는데 앱을 설치하겠냐고 물어보며 팝업창을 띠우고, 클릭시 스토어를 거치지 않고 설치된다면 PWA이다. 대표적으로는 스타벅스가 PWA로 만들어진 웹 앱을 서비스하고 있다. PWA는 웹 앱의 화면과 동일하지만 주소창이 사라지고 네이티브 앱처럼 더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